중국차
중국차의 시대적변화/음용방법
아일랜드고영미
2005. 12. 22. 14:23
중국茶의 시대적변화
國 |
당 |
송 |
원 |
명 |
청 | |
시기 |
8세기중엽~남송말까지 차문화꽃피다 |
11c중엽~ 북송중,후기 차문화 가장왕성함 |
징기스칸 몽고통일 |
건국/주원장16c말(명후기 |
청말~근대(문화혁명)차문화 쇠퇴~현대↑ | |
다법 |
煮茶(자다)법 =烹茶 |
點茶(점다) |
|
泡茶(포다) |
| |
유행차 |
|
오룡,홍차등장 |
몽골영향 자사호등장 |
충다법- 개완등장 |
화차유행 | |
조다법 |
다양한제다법개발및보급/병차-거친가루차/떡차,조차,산차,말차등 |
단차(찐잎차, 떡모양)를 연마라에갈아/ 고운가루차 |
|
용봉차의결점을인식해 -잎차제다 /숙우사용 |
다호의 소형화
| |
다서 |
육우(다경) |
서긍(고려도경) |
|
장원(다록) 도융(고반여사) 허차서(다소);차는기껏2번우린다는기록있다 |
모환문(다경채요) | |
다인 |
육우,삼백웅, 효연,노동,제이 |
채양,조길(휘종황정견,소식(소동파),육유 전주권,전춘년 고원경 |
|
장원,허차서 정용빈,나름 풍가빈,모양 진계유,서위,전예형,장대,원매 |
| |
풍속 |
‘투차’ 관리들이차를품평함 |
(투차가대중풍속=차겨루기 分茶(분차)홀로차즐기는풍습 차전매제도실시,차의대중화 재정의 25%를차지함 |
|
|
| |
우리나라 |
고구려정벌 발해 |
중기(고려)--- 말차를 거품내어풍류를즐김 |
--------->
|
조선----- 잎차/우려서, 단차/거친가루/끓여마심 |
----대한제국
| |
|
차는 신농씨때부터 -
|
차를 마시는것이 일상사가 된 것은 춘추전국시대(전한시대)부터 |
삼국지에 옥로차를 보검과 바꿨다는기록이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