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가 처음 만들어졌을 무렵에는 오차(烏茶)라고 불렀다.
가공과정중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생차 중의 화학성분이 여러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되어 차 폴리페놀이
90% 이상 감소하고, 테아플라빈(Theaflavin, 茶黃素)이라는 새로운 성분이 생긴다. 발효전에는
향기물질이 50여종이던 것이 발효가 되면서 300여종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일부
카페인(caffeine, 咖啡碱)과 카테킨(catechin, 兒茶素), 테아플라빈이 서로 결합하여
진하고 신선한 맛을 내는 화합물을 만들게 되어 홍차 특유의 향과 홍탕, 홍엽을 갖게 된다.
홍차란 말의 어원은 19세기 중엽부터 홍차를 생산해 수출하려 했던 일본인이 자국내의 녹차를 일본차롤
부르고 유럽인이 마시는 차를 빛깔이 붉다고 하여 홍차라 부르던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유럽식 홍차의 기원은 16세기중엽 중국에서 시작된다.
우롱차는 홍차보다 덜 발효된 것으로 원래 중국에서 만들어져 유럽에서 수입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강발효된 우롱차가 유럽인에게 환영을 받으면서 강하게 발효된 차로 자리를 잡게된다
녹차와 우롱차의 차이를 설명하는 통역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영어의 블랙티의 어원이 되었다는 것이
현재 가장 강력한 가설이 되고 있다.
홍차의 확산 및 보급
16c이전 |
16C |
17C |
18C |
중 국 |
포르투갈 |
네덜란드 |
영 국 |
1610 복건성 숭안에서홍차제조시작 |
유럽에 차의 정보발신 |
차를 유럽으로 소개 |
유럽,전세계로확산시킴 찰스2세와 포르투갈의 캐서린공주결혼 차,설탕을혼수로가져옴 애프터눈티의전형이됨 (포)의 식민지인 브라질이 설탕공급을 독점하고 있었음 |
세계 3대 홍차
* 중국의 기문 홍차 :
중국 안휘성의 기문에서 생산된다. 이차에서 나는 향기를 기문향이라고 이야기 하는데, 난초의 향기 같기도 하고,
사과향 같기도 한 아주 은은한 향기가 특징이다.
* 인도의 다즐링 홍차 :
홍차 중 세게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이 다즐링 홍차는 인도 북동 히말라야 고지대에서 생산된다. 다른 홍차에 비해 탕색은
엷은 오렌지색을 띠며, 맛은 아주 부드러우며 특히 후미의 단맛이 일품이다 .
* 스리랑카의 우바 홍차 :
실론티와 실론섬으로 유명한 스리랑카의 중부 산악지대인 우바에서 생산되는데, 이차 역시 고산지대의 하이그론티에 해당된다.
화향과 산뜻한 떫은 맛 그리고 밝은 탕색이 상쾌함을 더해주는 차이다.
홍차의 분류/3가지 --대표적인 홍차 생산지는 인도와 실론(스리랑카) 중국
찻잎의 배합데 따른 분류 / 스트레이트, 블랜디드, 플레이버리
1 Straight Tea -
인도 : 다즐링(Darjeeling), 닐기리(Nilgiri), 아삼(Assam)
다즐링(Darjeeling)
다즐링은 히말라야 고지에서 생산된다. 붉은 색이 진하며 향이 깊어 매우 높이 평가하지만 생산량이 적어서 대부분 다른 차잎과 브랜드해서 사용.
좋은 다즐링에서는 와인향이 난다고 해서 홍차의 샴페인이라한다. 실제로 100% 다즐링을 구하기는 매우 어려움.
다른 홍차와는 다른 분류법을 사용하며, 수확된 시기에 따라서 First Flush(3,4월 수확), Second Flush(5,6월 수확),
Autumnal Flush(10월 이후)로 나뉘며 시기에 따라서 맛과 향에 차이가 있다.
닐기리(Nilgiri)
남부지방에서 생산되는 짙은 색의 홍차잎. 실론산과 브랜드하는데 주로 쓰임.
아삼(Assam)
정글지방에서 생산되는 부드럽고 달콤한 홍차. 주로 밀크티로 마신다. 아이리쉬 브랙퍼스트 등의 기본 차잎으로 쓰임.
중국의 기문, 전홍
2.블랜드 티 여러 산지의 찻잎을 섞어서 판매하는 것
잉글리쉬 브랙퍼스트(mEnglish Breakfast) 또는 브랙퍼스트(Breakfast)
실론 차와 인도 차를 블랜드 한 것으로 주로 밀크티용으로 만들어진 카페인이 많은 강한 홍차.
오렌지페코(Orange Pekoe)
가장 대중적인 홍차. 홍차 등급(OP)을 말하는 뜻도있다. 실론티와 인도차의 블랜드로 실론차의 비율이 높은 편.
로열 블랜드(Royal Bland)
영국 왕실에 납품되는 블랜드라는 뜻. 회사마다 구성이 다르며 주로 밀크티용.
아이리쉬 브랙퍼스트(Irish Breakfast)
아삼을 주종으로 한 블랜드 티 달콤한 밀크티용으로 주로 사용.
모닝(Morning)
실론(40 %), 아삼(40%), 다즐링(20%)의 프랑스 포숑(Fauchon)사의 대표적인 브랜드. 카페인이 많은 밀크티용
차이나티(China Tea)
랩상 소우총과 키먼을 브랜드한 홍차. 솔잎향이 난다.
러시안 캐러반(Russian Caravan)
랩상 소우총이나 키먼같은 중국차에 인도차를 섞어서 만든다.
러시아인들은 이 홍차와 함께 얇은 접시에 잼을 넣고 독한 술을 곁들여 내는데 잼에 술을 조금 부어서 홍차와 함께
조금씩 마셔 몸을 덥힌다.
레이디 그레이(Lady Grey)
트와이닝스 사에서 만든다. 키먼 같은 중국차에 오렌지 향을 더한 것. 립튼의 '오렌지 윈저'와 비슷함.
프린스 오브 웨일즈(Prince of Wales)
역시 트와이닝스의 브랜드 중의 하나이며, 반발효차인 우롱차의 비율이 높아 맛이 부드럽고 뒷맛이 깔끔.
잉글리쉬 티 넘버원(English Tea No. 1)
아마드의 브랜드. 보통의 브랜드 홍차에 베르가못 오일을 입힌 얼 그레이 계열의 홍차.
파더즈 티(Father's Tea)
위타드 오즈 첼시의 대표적 브랜드로 아삼이 주종
3.flavory tea (플래이버리) 인공적으로 향을 첨가하거나 꽃잎등을 섞은것
우려내는 방식에 따른 분류/ 스트레이트, 베리에이션
스트레이트-얼그레이 다즐링
베리에이션-밀크, 향신료, 과일, 허브등을 다양하게 첨가해서 마심
'홍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차의 등급 (0) | 2009.02.11 |
---|---|
프랑스홍차 / Le Palais Des THes (0) | 2009.01.22 |
스리랑카 차생산지 (0) | 2008.08.19 |
제다실습/ 홍차만들기 (0) | 2008.02.04 |
[스크랩] 영국의 홍차 문화 (0) | 2005.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