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팅 강도
1.그린 빈(GREEN BEANS)생두 초기의 단계. 생두의 색깔은 연녹색에서부터 짙은 초록색까지 산지별로 다양하다.
약배전
2. 라이트 로스팅(LIGHT ROASTING ; 최약배전)감미로운 향기가 나지만 이 단계의 원두를 가지고 커피를 추출하면 쓴맛, 단맛, 깊은 맛은 거의 느낄 수가 없다.생두를 로스터에 투입해 생두가 열을 흡수하면서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초기 단계로 이때 생두는 누런 색으로 변화된다.
3. 시나몬 로스팅(CINNAMON ROASTING ; 약배전)뛰어난 신맛을 갖는 원두이며 그 신맛을 즐기고 싶다면 이 단계의 원두가 적당하다. 누런 색이던 원두가 계피색을 띠게된다.커피 생두의 외피(Silver Skin)가 왕성하게 제거 되기 시작한다.신맛이 강하고 커피 향은 약하다.
4. 미디엄 로스팅(MIDIUM ROASTING ; 약강배전)아메리칸 로스트라고도 한다.신맛이 주역인 아메리칸 커피는 이 단계의 원두가 최적이다.식사중에 마시는 커피. 추출해서 마실 수 있는 기초단계이며 원두는 담갈색을 띤다.첫번째 팽창이 있은 후부터 두번째 팽창을 하기 전까지의 단계로 생두 는 충분히 부풀어 있는 상태이고 색상 또한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한다. 커피의 특징인 신맛과 쓴맛 그리고 독특한 향기가 함께 나타나기 시작한다.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중배전
5. 하이 로스팅(HIGH ROASTING ;중약배전)여기서부터 신맛이 엷어지고 단맛이 나기 시작한다.가장 일반적인 단계로 갈색의 커피가 된다.두번째 팽창을 시작한 후부터이며 미디엄 로스트보다 약간 더 진행된 상태를 말한다. 신맛이 약간 남고 쓴맛이 점점 강해지면서 감미로운 냄새가 난다.높은 온도에서 볶을 경우에는 이때부터 프렌치, 이탈리안 로스트까지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6. 시티 로스팅(CITY ROASTING ;중중배전)저먼(german)로스트라고도 한다.조금씩 기름기가 배어나오기 시작한다. 신맛은 거의 없어지고 쓴맛과 달콤 한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균형 잡힌 강한 느낌을 준다.맛과 향이 대체로 표준이며 풍부한 갈색을 띠게 된다.
7. 풀 시티 로스팅(FULL CITY ROASTING ;중강배전)신맛은 거의 없어지고 쓴맛과 진한 맛이 커피 맛의 정점에 올라서는 단계이다.아이스커피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어느 정도 강하게 볶은 것으로 기름기가 전체에 돌기 시작한다. 크림을 가미하여 마시는 유럽 스타일. 원두의 색깔은 짙은 갈색으로 변하며 에스프레소커피용의 표준이다.
강배전
8. 프렌치 로스팅(FRENCH ROASTING ;강배전)쓴맛, 진한 맛에 중후한 맛이 강조된다. 기름이 표면에 끼기 시작하는 단계. 원두는 검은 갈색이 된다.쓴맛이 다른 맛을 압도 하기 때문에 아이스커피에 주로 사용한다. 풀 시티에서 몇 초만 지나면 프렌치 로스트 상태가 된다.
9. 이탈리안 로스팅(ITALIAN ROASTING ;최강배전)쓴맛과 진한 맛의 최대치에 달한다.원두에 따라서는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탄화되어 표면이 완전히 검게 되어버린다.예전에는 이 로스팅이 에스프레소용으로 많이 선호되었으나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터키 커피 등에 약간 이용될 뿐이다.
배전도에 따른 맛의 차이
약배전
부드러운 신맛, 만약 커피 속까지 볶아지지 않는다면 떫은 맛, 새콤한 신맛,ㅡ 풀맛이 날수도 있다
브라질 블루마운틴 이디오피아예가체프
약중배전
향기와 쓴맛이 강하지는 않지만 화려하다 좋은 쓴맛, 산뜻한 신맛이 섬세하고 절묘한 밸런스를 가진다
모카마타리 니카라과SHG
중배전
쓴맛과 향기 감칠맛의 밸런스가 최고이다
커피의 캬라멜향과 삼킨후 미끈하고 상쾌한 맛을 느낄수있는 배전도
콜롬비아수프리모
강배전
강렬한 쓴맛 특유의 스모키향이 있다
프렌치, 이탈리안 배전정도 수마트라 만데린. 케냐AA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픽/결점두 골라내기 (0) | 2009.10.16 |
---|---|
커피개요 (0) | 2009.10.16 |
원두커피 / 모카 예맨 (0) | 2009.07.19 |
1회용으로 소포장된 드립커피 (0) | 2009.05.27 |
커피를 추출하는 6가지 방법 (0) | 2008.06.09 |
댓글